북한 김정은, 11월 '부산'답방설 제기
상태바
북한 김정은, 11월 '부산'답방설 제기
  • 이성관 기자
  • 승인 2019.09.26 17: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뮈원장의 11월 방한설이 제기되면서 그의 동선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김 위원장이 다자외교 무대에도 데뷔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3월 중국과의 첫 정상회담을 통해 국제 무대에 데뷔한 바 있다. 이어 남측과도 세 차례나 정상회담을 열었고,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까지 개최했다. 올해 4월에는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만나는 등 외교무대의 지평을 넓히기도 했다.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이 다자회의에 모습을 드러낸다면 이는 폐쇄적인 북한의 국가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 더해, 정상국가화에 대한 북한의 지향점을 확실히 보일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가장 빠른 시점으로는 중국을 방문하는 10월 초를 꼽을 수 있다. 최근 국가정보원이 국회 정보위원회에 북중 수교일인 10월6일을 전후해 방중 가능성을 보고한 바있고, 중국측에서도  중국 국경절인 10월1일에 방문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이 올해로 건국 70주년을 맞는 만큼 대대적인 행사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져있기 때문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사회주의 국가 지도자들이 참석해 다자외교전이 펼쳐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시점으로는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꼽힌다. 이 역시 국정원이 '비핵화 협상의 진전'을 전제로 김 위원장의 회의 참석 가능성을 언급하며 가능성이 제기됐다.

청와대와 국정원은 북미간 대화의 진척에 따라 답방 여부가 달려있다는 입장이다. 여권도 지난해 9월 평양에서 열린 3차 정상회담을 통해 답방 문제가 합의된 만큼, 국정원 차원에서 북측과 부산 답방을 두고 협의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는 김 위원장이 "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한다"는 약속을 지켜 '남북 합의 이행'의 명분을 가질 수도 있기에 좋은 카드가 될 수 있다는 해석도 따른다.

한편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다자외교무대 데뷔와 관련, 그동안 전례가 없었다는 점을 비춰볼 때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보상'을 원하는 북한의 입장에선 미국과 실무협상이 타결되고, 북미정상회담을 한 차례 개최한 뒤에나 답방 논의가 가능하다면, 일정상 시간이 촉박하다는 관측이다.

다만 북한이 정상국가화를 지향하고, 외교적 성과를 통한 경제 협력에 관심이 높은 점을 감안해 볼 때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는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특히 이번 답방은 김 위원장이 주변 국가들과 경제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는 데 도움이 되고, 다자외교의 무대로 본인이 직접 나옴으로 인해 자신의 주도권과 지도력을 보여줄 수 있다며 "또한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이 내년 종료되는시점에서 대내적 메시지에도 외교적 성과로  담기지 않겠냐고 여러 가능성을 점쳐볼 대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